Algorithm
-
#5 치킨배달Algorithm/문제풀이 2021. 11. 26. 16:00
크기가 N×N인 도시가 있다. 도시는 1×1크기의 칸으로 나누어져 있다. 도시의 각 칸은 빈 칸, 치킨집, 집 중 하나이다. 도시의 칸은 (r, c)와 같은 형태로 나타내고, r행 c열 또는 위에서부터 r번째 칸, 왼쪽에서부터 c번째 칸을 의미한다. r과 c는 1부터 시작한다. 이 도시에 사는 사람들은 치킨을 매우 좋아한다. 따라서, 사람들은 "치킨 거리"라는 말을 주로 사용한다. 치킨 거리는 집과 가장 가까운 치킨집 사이의 거리이다. 즉, 치킨 거리는 집을 기준으로 정해지며, 각각의 집은 치킨 거리를 가지고 있다. 도시의 치킨 거리는 모든 집의 치킨 거리의 합이다. 임의의 두 칸 (r1, c1)과 (r2, c2) 사이의 거리는 |r1-r2| + |c1-c2|로 구한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지도를 ..
-
#4 게임 개발Algorithm/문제풀이 2021. 11. 19. 17:44
현민이는 게임 캐릭터가 맵 안에서 움직이는 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캐릭터가 있는 장소는 1 X 1 크기의 정사각형으로 이뤄진 N X M 크기의 직사각형으로, 각각의 칸은 육지 또는 바다이다. 캐릭터는 동서남북 중 한 곳을 바라본다. 맵의 각 칸은 (A, B)로 나타낼 수 있고, A는 북쪽으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 B는 서쪽으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이다. 캐릭터는 상하좌우로 움직일 수 있고, 바다로 되어 있는 공간에는 갈 수 없다. 캐릭터의 움직임을 설정하기 위해 정해 놓은 매뉴얼은 이러하다. 현재 위치에서 현재 방향을 기준으로 왼쪽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방향)부터 차례대로 갈 곳을 정한다. 캐릭터의 바로 왼쪽 방향에 아직 가보지 않은 칸이 존재한다면, 왼쪽 방향으로 횐전한 다음 왼쪽으로 ..
-
#3 DFS/BFSAlgorithm/유형정리 2021. 11. 17. 16:24
DFS(Depth-First Search) DFS는 깊이 우선 탐색이라고도 부르며 그래프에서 깊은 부분을 우선적으로 탐색하는 알고리즘이다. DFS는 스택 자료구조를 이용하며 구체적인 동작 과정은 다음과 같다. 탐색 시작 노드를 스택에 삽입하고 방문 처리를 한다. 스택의 최상단 노드에 방문하지 않은 인접 노드가 있으면 그 인접 노드를 스택에 넣고 방문 처리를 한다. 방문하지 않은 인접노드가 없으면 스택에서 최상단 노드를 꺼낸다. 2번의 과정을 더 이상 수행할 수 없을 때까지 반복한다. DFS 탐색 과정 이 그래프를 노드 1을 시작으로 DFS를 사용해 탐색이 진행되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Step 1] 시작 노드인 '1'을 스택에 삽입하고 방문 처리 한다 [Step 2] 스택의 최상단 노드인 '1'에..
-
#2 ImplementationAlgorithm/유형정리 2021. 11. 7. 17:10
구현 코딩 테스트에서 구현(Implementation)이란 '머릿속에 있는 알고리즘을 소스코드로 바꾸는 과정' 이다. 즉 풀이를 떠올리는 것은 쉽지만 소스코드로 옮기기 어려운 문제이다. 여기서 구현하기 여려운 문제들의 예시를 들어보자면 알고리즘은 간단한데 코드가 지나칠 만큼 길어지는 문제 실수 연산을 다루고, 특정 소수점 자리까지 출력해야 하는 문제 문자열을 특정한 기준에 따라서 끊어 처리해야 하는 문제 적절한 라이브러리를 찾아서 사용해야 하는 문제 대체로 사소한 조건 설정이 많은 문제일수록 코드로 구현하기가 까다롭다. 여기서 다룰 구현 유형은 두 가지이다. 모든 경우의 수를 주저 없이 다 계사하는 해결 방법을 의미하는 완전 탐색 문제에서 제시한 알고리즘을 한 단계씩 차례대로 직접 수행해야 하는 시뮬레이..
-
#2 숫자 카드 게임Algorithm/문제풀이 2021. 10. 29. 17:15
숫자 카드 게임은 여러 개의 숫자 카드 중에서 가장 높은 숫자가 쓰인 카드 한 장을 뽑는 게임이다. 단, 게임의 룰을 지키며 카드를 뽑아야 하고 룰은 다음과 같다. 숫자가 쓰인 카드들이 N x M 형태로 놓여 있다. 이때 N의 행의 개수를 의미하며, M은 열의 개수를 의미한다. 먼저 뽑고자 하는 카드가 포함되어 있는 행을 선택한다. 그다음 선택된 행에 포함된 카드들 중 가장 숫자가 낮은 카드를 뽑아야 한다. 따라서 처음에 카드를 골라낼 행을 선택할 때, 이후에 해당 행에서 가장 숫자가 낮은 카드르 뽑을 것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가장 높은 숫자의 카드를 뽑을 수 있도록 전략을 세워야 한다. 예를 들어 3 x 3 형태로 카드들이 다음과 놓여 있다고 가정하자. 여기서 카드를 골라낼 행을 고를 때 첫 번째 혹은..
-
#1 큰 수의 법칙Algorithm/문제풀이 2021. 10. 29. 17:00
동빈이의 큰 수의 법칙은 다양한 수로 이루어진 배열이 있을 때 주어진 수들을 M번 더하여 가장 큰 수를 만드는 방법이다. 단, 배열의 특정한 인덱스에 해당하는 수가 연속해서 K번을 초과하여 더해질 수 없는 것이 이 법칙의 특징이다. 예를 들어 순서대로 2, 4, 5, 4, 6으로 이루어진 배열이 있을 때, M이 8이고 K가 3이라고 가정하자. 이 경우 특정한 인덱스의 수가 연속해서 세 번까지만 더해질 수 있으므로 큰 수의 법칙에 따른 결과는 6 + 6 + 6 + 5 + 6 + 6 + 6 + 5인 46이 된다. 단, 서로 다른 인덱스에 해당하는 수가 같은 경우에도 서로 다른 것으로 간주한다. 예를 들어 순서대로 3, 4, 3, 4, 3으로 이루어진 배열이 있을 때 M이 7이고 K가 2라고 가정하자. 이 경..
-
#1 Greedy AlgorithmAlgorithm/유형정리 2021. 10. 27. 18:01
그리디 알고리즘 그리디 알고리즘은 그대로 직역하여 국내에서는 "탐욕 법"으로 소개된다. 어떠한 문제가 있을 때 단순 무식하게, 탐욕적으로 문제를 푸는 알고리즘이다. 여기서 탐욕적이라는 말은 "현재 상황에서 가장 좋은 것만 고르는 방법"이다. 매 순간 가장 좋아 보이는 것만 선택하며, 현재의 선택이 나중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는다. 예시로 알아보자. 거스름 돈 당신은 음식점의 계산을 도와주는 점원이다. 카운터에는 거스름돈으로 사용할 500원, 100원, 50원, 10원짜리 동전이 무한히 존재한다고 가정한다.손님에게 거슬러 주어야 할 돈이 N원일 때 거슬러 주어야 할 동전의 최소 개수를 구하라.단, 거슬러 줘야 할 돈 N은 항상 10의 배수다. 그리디 알고리즘 문제의 대표 유형으로 가장 간단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