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
멋쟁이 사자처럼 백엔드 1기 합격 후기Study/멋쟁이 사자처럼 백엔드 스쿨 KDT 2022. 6. 24. 21:25
#0 동기 인스타그램을 누워서 보다가 멋쟁이 사자처럼 KDT 백엔드 스쿨 포스트를 우연히 보게 됐다. 백엔드로 진로를 정하고, 국비 지원 프로그램에 관심이 있던 나는 지원을 결심했다. 또 시작 시점이 기말고사가 딱 끝나는 지점이라 시기상으로도 적절했다. #1 자소서 멋사 백엔드 스쿨 지원은 1차, 2차로 진행됐다. 1차는 자소서 형식이었고, 2차는 코딩 문제와 영상 면접 형태로 진행됐다. 자소서 질문에서 내가 작성한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1. KDT 백엔드 스쿨에 어떤 이유로 지원을 하셨나요? 또한 백엔드 개발자가 되기로 결심한 이유에 대해 기술해 주세요. 여러 교육과정 중 왜 멋쟁이사자처럼의 KDT 백엔드 스쿨을 선택했는지, 어떤 계기로 백엔드 개발자라는 직업을 꿈꾸게 되었는지를 구체적으로300자 이..
-
#4월 3일, 4월 7일의 기록Study/JSCode-Summer 2022. 4. 9. 14:16
#4월 3일 저번에 프로젝트를 완성하지 못하여 스터디를 진행했다. SpringSecurity authenticated를 테스트할 때 자꾸 null exception이 발생했는데, Repository에서 findById 함수 리턴 타입을 Vo타입에서 Entity로 바꿨더니 정상적으로 작동했다. 이유에 대해서는 조금 더 공부가 필요해 보인다. 그리고 저번에 추가했더느MapStruct를 사용한 코드를 다른 조원이 pull받아 사용하려 했더니 자꾸 Mapper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오류가 발생했다. 처음에는 Mapper를 사용하지 않고 수정 코드를 다시 작성하는 방법으로 진행하려고, MapStruct Lib는 프로젝트에서 제거했다. 하지만 계속해서 같은 오류가 발생하여 방법을 찾아보니, 이는 Maven Clean..
-
#3월 27일, 3월 30일의 기록Study/JSCode-Summer 2022. 3. 31. 17:34
#3월 27일 저번 시간에 정했던 대로 ResponseEntity에 Vo를 담도록 수정했다. 또한 삭제, 조회 기능도 생성과 같이 구현했고, 테스트 코드도 작성했다. 해오기로 한 모든 것들을 서로 번갈아가며 발표하여 공유했다. 다른 분이 한 코드에서는 값이 DB에 존재하지 않을 때 필요한 예외 처리도 넣으셨다. 나도 이 예외처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추가하기로 했다. 발표가 끝나고 시간이 많이 남아 User 생성, 조회를 이 시간에 해보기로 했다. 이것도 똑같이 발표하고 공유했다. 다음시간 까지 Spring Security 를 적용하여 로그인 구현, 그리고 수정 API를 구현해오기로 했다. #3월 30일 수정할때 일부만 수정하는 것과 전체 데이터를 수정하는 두가지가 있다. 전체 데이터를 수정할 때는 큰 ..
-
# 3월 20일, 3월 23일의 기록Study/JSCode-Summer 2022. 3. 31. 16:52
#3월 20일 3월 20일에는 멘토분들이 익명으로 질문을 받아 하나씩 답변해주시는 시간을 가졌다. 질문이 너무 많아 전부 바로 답변해주시지 못하고 일부분은 따로 Notion에 질문에 대한 답변들을 적어주셨다. 여러가지 질문 중 나에게 도움이 될만한 조언들을 적어보려 한다. 회사를 선택하는 기준이 어떻게 되시는지? 기술 블로그가 있는 회사를 선택했다. 개발자 위주 커뮤니티가 형성되어 있는 회사 중 선택했다. 백엔드 선택 이유 요구사항 비즈니스 로직의 코어부분이라 생각해서 선택했다. 프론트가 멘토분에게는 더 어렵게 느껴졌다. 대외활동 중요한지? 프로젝트를 통해 얻는 것들이 가장 중요 배운 것들을 잘 어필하는 것이 중요 방향을 정하는 것이 중요 유니콘 기업 프로젝트가 가장 중요 대기업들은 cs 기초 지식, 코..
-
#3월 13일, 3월 16일의 기록Study/JSCode-Summer 2022. 3. 18. 19:13
#3월 13일 본격적으로 개발을 시작하기 위해 여러가지 규칙을 만들었다. 결국 DB는 MariaDB를 사용하기로 정했고, 명명 규칙은 snake_case를 사용하기로 했다. snake_case를 선택한 이유는 JPA에서 camelCase를 사용하면 다른 설정이 필요하다는 포스트를 봤고, 보통 snake_case를 사용한다고 많이 해서 선택했다. 하지만 어떤 case를 사용하냐보다, 통일성이 가장 중요하다라고 한다. DB선택의 별 다른 이유는 없다. 이제 ERD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의 이름과 컬럼들을 확실하게 정했고, 각 테이블마다 필요한 API기능들을 정의했다. 각자 어떤 테이블을 담당하여 기능을 구현할지 정했고, 나는 음악 테이블을 담당하여 기능을 구현하기로 했다. 또한 구현 규칙을 정의했다. 규칙들..
-
#3월 6일, 3월 9일의 기록Study/JSCode-Summer 2022. 3. 11. 17:31
시작 웹 사이트에서 스터디 그룹을 찾아 JSCode 스터디를 참여하게 됐다. 실무자 분들의 피드백도 받으며 스터디 내에서 주도적으로 주제에 맞게 스터디를 진행한다. 나는 Spring심화-프로젝트 주제로 진행하는 그룹에 신청하여 참여하게 됐다. 더보기 혹시라도 관심이 있으시다면 아래 링크로 https://thejscode.slack.com/archives/C02QELKGXKM #3월 6일 스터디를 시작하고 처음으로 그룹원들과 만나게 됐다. 스터디 멘토님께서 첫 시간에는 팀명, 팀장, 스터디 진행 방법들을 정하라고 안내해주셨다. 이 결과 팀명은 Spring을 뛰어 넘자는 의미로 Summer로 정했다. 스터디 방법은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해 주제를 정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됐다. JSCode에서는 스터디 가이..